위에 사이트에서 설정할 수 있다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[Project]는 Gradle-Groovy이다.
[Language]는 Java로
[Spring Boot]버전은 나중에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대로 설정한다.(SNAPSHOT, M2는 미완성 버전)
[Artifact]는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하는 부분으로 본인이 원하는 이름을 작성하자.
[Packaging]은 Jar(자바클래스를 담고 있는 압축파일)이다.
[JAVA]는 본인이 설치한 JDK 버전에 맞게 설정한다. 나는 JDK17버전을 사용해서 17로 놓았다.
나머지는 기본설정으로 해놓는다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오른쪽화면에 뜨는 이곳은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쓸 여러 도구를 가져올 수 있는데, [ADD DEPENDENCIES...]버튼을 클릭하고 web을 입력하자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FSAj/btsHVVJrSSL/cdkrvBOg0KYOkSIPPssWVk/img.png)
선택하면 [DEPENDENCIES]에 도구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 Spring Web은 설정을 필수로 하고, 다른 도구를 사용하고 싶으면 저기서 추가해서 사용하면 된다.
추가했으면 밑에서 [GENERATE]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하고 압축을 푼다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mDyM/btsHVcSFGuG/xyLDzjINLBgkpzGmK3tFJk/img.png)
[Open]을 클릭해서 본인이 압축을 푼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스프링 부트설정하는법]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설정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ioK5/btsHVaN7ang/Z5XJnDj2SsCet4wl7yRMYK/img.png)
이런창이 뜨면 Trust projects in ~을 체크하고, [Trust Project]를 클릭한다. 그러면 화면이 나타날 것이다.
[Spring Boot버전 변경]
위 선택버튼에서는 내가 원하는 버전이 없기 때문에, 프로젝트를 연 다음 탐색기창을 이용해서 변경하려고 한다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Boot버전 변경]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Boot버전 변경]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pL5B/btsHU9BDL1J/KR0CcPGFEvbLixVAlmuAFK/img.png)
탐색기창에서 이 버튼을 클릭한 뒤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Boot버전 변경]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Boot버전 변경]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w02l/btsHW3sXSFz/wlpTmwfQXIiyTI0VvJ1pK1/img.png)
plugins에서 version을 원하는 버전으로 바꾸면된다. 나는 3.1.0버전을 사용할 것이라 다음과 같이 바꾸었다.
![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Boot버전 변경] [Spring] 스프링 부트 설정 - undefined - [Spring Boot버전 변경]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5mz7/btsHWRsLLtj/ZK9PkuE6wgbkIK0q0QqHX0/img.png)
[x]표시 옆 새로고침 버튼을 누르면 완료된다.
'Develop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application.yml생성하기 (0) | 2024.06.25 |
---|---|
[Spring] 스프링부트와 카카오 로그인연동하기(2) (0) | 2024.06.16 |
[Spring] 스프링부트와 카카오 로그인연동하기(1) (0) | 2024.06.16 |
[Spring] Talend API Tester 사용법 (0) | 2024.06.13 |
[Spring] 부트스트랩 사용 (0) | 2024.06.12 |
댓글